암에 이어 한국인 사망원인 2위인 심장질환 그중 가장 무서운 심장마비의 원인 협심증. 2020년 기준 월별 심장질환 사망 통계에서 3월의 사망자수는 4번째로 높아 환절기 일교차에 혈관이 예민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0년 기준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자는 약 3만명 이상으로 그중 심근경색과 협심증에 의한 심장마비가 주된 요인으로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혈관 관리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동맥경화로 인해 혈관이 심하게 좁아져 생기는 협심증의 초기증상과 진단검사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협심증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3개의 관상동맥 중 한곳 이상에서 협착이 일어나거나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심장근육이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 것을 말합니다. 1) 만성 안정형 협심증 - 공맥경화증에..